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7

2024년부터 바뀌는 육아휴직, 신생아 특공 등 육아 관련 국가 지원 정책 총정리 2024년부터 바뀌는 육아 관련 국가 지원 정책 총정리 1. 자녀 1인당 양육비용이 얼마나 들까요? 2021년 기준으로, 자녀1인당 양육비용을 정리하면 영유아는 월평균 60.6만원 초등학생은 78.5만원 중고등학생은 91.8만원 대학생은 73.6만원 이었다고 합니다. 2021년 기준인데 지금은 물가가 훨씬 더 올랐으니, 아마도 여기서 몇 만원씩 더 비용이 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가도 늘어나는데 육아비용도 더 늘고 있고.. 그러는 와중에 우리나라 출산율은 2023년 9월 기준 0.778명으로 한 가정에서 1명도 낳지 않는 가구가 상당히 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만큼 출산과 육아 관련하여 국가적 지원이 더 절실해지는 시기라는 생각인데요, 2024년이 되면서 육아하시는 분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국가적인 .. 2023. 9. 7.
2024년 공무원 봉급표(일반직 공무원, 교사, 경찰, 소방관, 국립대학교원, 우정군직, 군인) - 2024년 공무원 봉급 인상 2024년 공무원 봉급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려 합니다. 1. 대한민국 공무원 현황 대한민국의 전체 공무원은 2022년 12월 31일 기준 1,171,413명입니다.행정부 소속으로는 1) 국가일반직 : 181,707명 2) 지방자치 일반직 : 313,588명 3) 교원 : 366,956명 4) 경찰직 : 143,147명 5) 소방직 : 66,673명 6) 교육자치일반직 : 73,865명 이며 그 외 헌법기관 소속으로 25,477명이 있습니다. 2. 2024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2024년 공무원 봉급이 2.5% 인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였지만, 2.5% 인상은 그래도 너무 적지요. 9급 초임 공무원은 수당을 제외하면 최저임금을 밑도는 수준이라고 하니, 높은 인플레 대비 적게 올리는 급여로.. 2023. 9. 2.
청년도약계좌, 만기 시 5천만원 만들기!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능할까?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상세정보 2023년 6월 15일부터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도약계좌"가 운영됩니다. 상세한 내용을 같이 살펴볼까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여, 만기 5년에 정부 지원 기여금을 최대 6% 지원하여 5천만원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상품입니다.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으로 인해 연 7.68~8.86%의 일반적금 가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대상과 조건을 알아볼까요? 1.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1) 만 19~34세 사이의 청년으로, 2) 직전 과세기간(직전 년도 1월~12월)의 총급여가 6,000만원 이하인 경우 3) 본인 포함 주민등록등본 상 가구원 전체 소득 합이 기준 중위소득의 180% 이하 일 때 가입이 가능합.. 2023. 8. 15.
전세사기 예방을 위한 필수, <HUG 전세보증보험> 가입방법 안내 전세로 입주를 하게 되셨다고요? 그럼 나의 소중한 전세보증금을 보호하고 전세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가입하셔야 하는, 전세보증보험에 대해 안내드리려 합니다. 전세보증보험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가입할 수 있다보니, HUG 전세보증보험 또는 허그 전세보증보험 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전세보증보험, 왜 가입해야 하나요? 전세보증보험은 전세계약이 종료되었을 때 집주인(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전세보증금을 반환하도록 책임을 지게 하기 위해 가입을 합니다. 쉽게 말하면, 보증금을 떼이지 않고 꼭 돌려받기 위해 가입합니다. 그렇다보니 '전세보증보험' 또는 '전세보증 반환보증보험'이라고도 부릅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 조건 및 대상 1.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7억, 그 외 지역 5억원 이하 전세 보증금에.. 2023. 8. 14.
[전세사기 특별법] 전세사기 특별법 주요 내용 살펴보기 국토교통부가 지난 4월 27일에 2년간 적용되는 한시적인 특별법으로 전세사기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법령을 발표했습니다. 정식 명칭은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입니다. 길다보니 그냥 전세사기 특별법으로 부르는 것 같아요. 전세사기 특별법에 따른 피해자로 인정되면 1. 살고 있는 주택이 경매에 넘어가면 우선 매수 권한이 생기며 2. 임차 주택을 낙찰받는다면 취득세를 200만원 한도 내에서 면제하고, 3년간 재산세를 감면합니다. 3. 피해자가 주택 매수를 원하지 않는다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우선매수권을 넘겨받아 주택을 사들인 뒤 피해자에게 임대해줍니다. 전세사기 특별법 적용 대상은 아래 총 6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할 경우입니다. 1. 대항력을 갖추고 확정일자를 받은 임차인으로 .. 2023. 8. 14.
월세 환급 방법, 자리톡 월세 환급, 홈택스 월세 환급 방법 안내 월세를 환급 공제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다들 알고 있지만, 방법이 헷갈리실 때가 있죠? 오늘은 월세 환급방법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월세 환급이 가능한 대상자 ① 무주택 세대주이면서 ② 연간 총급여액이 7,000만원 이하 혹은 근로소득 포함 종합소득금액이 6,0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③ 임대차 계약서의 주소지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일치해야 하며 ④ 전용면적 85㎡ 이하이거나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의 주택이어야 합니다. 오늘은 월세 환급 방법 중 자리톡 앱과 홈택스를 이용한 환급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자리톡을 이용한 월세 환급 방법 자리톡은 임대 관련하여 관리할 수 있는 앱으로, 네이버, 다음 등 검색포탈에서 검색 후 나오는 홈페이지에 그냥 들어가도 되고, 구글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에서 어플로 설치해.. 2023.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