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6

[제3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 기초생활보장, 기초수급, 기초생활수급 제도 2024년부터 달라지는 것(2026년까지!) 기초생활보장제도는 경제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국민들을 위해 운영되는 사회복지 정책입니다. 소득이 부족한 개인과 가정에 급여와 지원을 제공하여 기본 생활비를 보장하며, 사회적 불평등을 줄이고 사회적 안정을 유지합니다. 이를 통해 모든 사람의 기본 인권을 보호하고 존엄한 생활을 지원합니다. 이 제도는 사회적 통합과 안전망을 구축하여 사회적 불안정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에 정부에서는 2024년~2026년까지 운영될 3년 간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해 계획을 세우고 발표하였습니다. 어떤 점들이 달라지는지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생계급여 선정 기준 인상 및 수급 대상자 증가2024년부터 생계급여 선정 기준(최대 지급액)을 기준 중위소득의 30%에서 35%까지 높이게 됩니다. 2024년에 3.. 2023. 9. 27.
2024년 신설되는 혼인증여재산 공제 알아보기(결혼할 때 증여세 절약하기!) 1. 갈수록 낮아지는 혼인건수 2022년에 혼인 건수는 19만 1,700건으로 기록되며, 이는 역대 최저치입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있었던 2020년 이후 결혼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실제로는 청년들이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결혼을 꺼리고 있어 계속해서 결혼율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만 19~34세 청년 중 3명 중 1명만이 결혼에 긍정적인 시각이었습니다. 청년들이 결혼을 미루는 이유로는 주로 '결혼 자금 부족(33.7%)', '출산 및 양육 부담(11.0%)', '고용 상태 불안정(10.2%)' 등 경제적인 이유가 주를 이룹니다. 그렇다면 결혼하는데 필요한 비용은 얼마일까요? 2023년 현재, 평균 신혼집과 혼수 비용을 합한 결혼 비용은 약 3억 3,000만원으로 나타.. 2023. 9. 24.
대출시 원금 이자 외에 발생되는 대출 비용 총정리(인지세, 근저당권 설정비용, 중도상환 수수료, 마이너스대출 수수료) 대출을 받을 때와 상환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부수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용들은 미리 알고 있으면 조금은 속상하지만, 뒤늦게 알게 되면 더 큰 속상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대출 관련 비용 중 미리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내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인지세 대출 진행 시 재산 권리와 승인을 표시하는 서류 발행에는 '인지세'라는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 비용은 대출 거래 계약에 따라 은행과 대출 고객이 각각 50%를 부담합니다. 인지세는 대출 금액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5천만원 이하 대출은 면제되며, 5천만원 초과 1억원 이하 대출은 7만원, 1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대출은 15만원, 10억원 초과 대출은 35만원의 인지세가 부과됩니다. 창업자가 사업을 시작한 지 2년 이내.. 2023. 9. 24.
드디어 출시된 애플 아이폰 15 스펙과 특징, 아이폰14와의 차이 애플에서 이번에 새로운 아이폰 제품인 아이폰15 출시를 발표했습니다. 아이폰은 그간 전세계 대표적인 스마트폰 브랜드로서 다양한 혁신과 편의성을 자랑하는 제품으로 사랑받아왔습니다. 매년 아이폰15 출시는 애플의 가장 큰 행사중 하나죠. 오늘은 그런 아이폰15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1. 아이폰15 제품의 구성 기본적으로 아이폰15의 라인업은 프로 라인과 일반 아이폰15 라인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아이폰SE 모델은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1) 아이폰15와 아이폰15플러스의 차이 아이폰15와 플러스의 차이는 크기와 배터리용량에 있습니다. 더 큰 화면과 더 오래가는 배터리를 선호하시는 분들께는 아이폰15 플러스가 더욱 적합한 제품이 될 것입니다. 아이폰15와 아이폰15 플러스 색상은 핑크와 옐로, 블루, 그린,.. 2023. 9. 17.
2023년 6월부터 만나이 적용 시행, 만나이 계산 방법, 만나이 계산기 행정기본법상 2023년 6월 28일부터 공식적으로 만나이 통일 적용이 시작되었습니다. 이제 누군가 나이를 물어보면 만나이로, 다르게 답하셔야 합니다. 근데 그럼에도 기존에 쓰던 나이 세는 방식 때문에 혼동되시는 분들도 많으실 것입니다. 많이 헷갈리실텐데,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정리를 한 번 해드려보려 합니다. 1. 만나이, 왜 도입을 했을까? 우리나라는 독특하게도 법적인 나이(만나이) 외에도 사회적 나이(세는 나이)를 사용하다보니, 행정적인 혼선도 있었고 계약 건과 관련하여 다양한 분쟁이 존재하기도 하였으며, 개인적인 인간관계에서도 서로의 나이를 세는 방식이 달라 혼선과 불편함이 있었죠. 그래서 이번에 "만 나이 사용"으로 통일이 된 것입니다. 2. 만나이 사용, 국민들의 여론은? 50%의 국민들은 하나.. 2023. 9. 7.
2024년부터 바뀌는 육아휴직, 신생아 특공 등 육아 관련 국가 지원 정책 총정리 2024년부터 바뀌는 육아 관련 국가 지원 정책 총정리 1. 자녀 1인당 양육비용이 얼마나 들까요? 2021년 기준으로, 자녀1인당 양육비용을 정리하면 영유아는 월평균 60.6만원 초등학생은 78.5만원 중고등학생은 91.8만원 대학생은 73.6만원 이었다고 합니다. 2021년 기준인데 지금은 물가가 훨씬 더 올랐으니, 아마도 여기서 몇 만원씩 더 비용이 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가도 늘어나는데 육아비용도 더 늘고 있고.. 그러는 와중에 우리나라 출산율은 2023년 9월 기준 0.778명으로 한 가정에서 1명도 낳지 않는 가구가 상당히 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만큼 출산과 육아 관련하여 국가적 지원이 더 절실해지는 시기라는 생각인데요, 2024년이 되면서 육아하시는 분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국가적인 .. 2023. 9. 7.
반응형